맨위로가기

아다드-니라리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다드-니라리 3세는 샴시-아다드 5세의 아들로, 아시리아 제국의 왕이었다. 그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 샤무-라마트가 섭정으로 정권을 휘둘렀으며, 이는 환관 세력의 증대와 왕권 약화의 원인이 되었다. 아다드-니라리 3세는 바빌로니아 정복, 시리아 원정 등 영토 확장을 위해 노력했으나, 장군들의 자율성 증대로 인해 지방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그는 니네베에 나부 신전을 건축했으며, 사후 그의 아들들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아시리아는 약세기에 접어들었다. 성경의 요나서에 등장하는 왕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디도 (카르타고)
    디도는 카르타고를 건설한 전설적인 인물로, 오빠 피그말리온에 의해 남편이 살해된 후 아프리카 해안으로 도망쳐 카르타고를 건국했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이아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가 묘사된다.
  • 기원전 8세기 통치자 - 센나케립
    센나케립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 즉위 후 바빌로니아와 레반트 지역에서 전쟁을 치렀고, 수도를 니네베로 옮겨 개조했으며, 아들들에게 살해당했다.
  • 기원전 8세기 통치자 - 나보나사르
    나보나사르는 기원전 747년부터 기원전 734년까지 바빌로니아를 통치한 왕으로, 바빌론 달력 개혁을 단행하고 아시리아의 침공에도 경제 활동을 회복시켰다.
  • 아시리아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아다드-니라리 3세
기본 정보
텔 알-리마 석비. 아다드-니라리 3세의 서부 원정을 기념함.
칭호아시리아의 왕
추가 칭호세계의 왕
재위 기간기원전 811년-783년
이전샴시-아다드 5세
계승자살만에세르 4세
자녀아슈르-니라리 5세
살만에세르 4세
아슈르-단 3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부친샴시-아다드 5세
모친삼무라마트

2. 생애

샴시-아다드 5세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즉위 당시 어렸기 때문에, 치세 초기 5년 동안은 어머니인 샤무-라마트가 섭정을 맡아 정권을 휘둘렀다.[1] 이 때문에 샤무-라마트와 관계가 깊은 환관들의 세력이 커졌고, 이는 훗날 아시리아 왕권 약화의 원인이 되었다.

그의 시대는 아시리아의 팽창이 계속되던 시기였다. 왕 자신의 기록은 적지만, 바빌로니아 원정을 성공시켜 칼데아 인 등을 정복하였다. 또한 그의 부하들은 많은 원정을 통해 아시리아의 영토를 확장하였다. 군 총사령관이었던 샴시-일은 시리아로 군사 활동을 펼쳤고, 또 다른 부하 네루카루-에레슈는 기원전 796년에 이스라엘 왕의 공격을 받아 약해진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그 왕 하자엘을 죽이고 지배하에 두었다.

사바에서 발견된 아시리아 왕 아다드-니라리 3세의 현무암 석비. 터키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고대 오리엔트 박물관 소장


아다드-니라리 3세의 비문에 따르면, 그는 할아버지 살만에세르 3세 시대에 아시리아가 누렸던 강성함을 되찾기 위해 여러 군사 원정을 이끌었다. 그는 통치 28년(기원전 783년)까지 사방으로 원정을 다녔으며, 니네베에 있는 나부 신전을 건설했다. 그의 활동 중에는 기원전 796년 벤하닷 3세 시대에 다마스쿠스를 포위한 것이 있었는데, 이는 아람 다마스쿠스 왕국의 쇠퇴를 초래했고, 요아스와 여로보암 2세 치하의 이스라엘의 부활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수많은 원정을 통해 아시리아는 영토를 확장했지만, 이들 장군들은 정복지에서 지배자와 같이 행동하여 지방 속주에 대한 아시리아 왕의 통제력은 매우 약화되었다. 또한 니네베나부 신전을 비롯한 각지에 신전을 건축하여 국위를 과시했다. 그의 사후, 그의 아들들인 샬만에세르 4세, 아슈르-단 3세, 아슈르-니라리 5세가 차례로 왕위를 계승했는데, 아다드-니라리 3세 시대에 세력을 키운 환관과 장군들이 계속해서 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아다드-니라리 3세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아시리아는 그의 사후 수십 년 동안 약세를 면치 못했다.

2. 1. 가족 및 초기 생애

샴시-아다드 5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즉위 당시 그는 너무 어려서, 치세 초기 5년 동안은 어머니인 샤무-라마트가 섭정을 맡아 정권을 휘둘렀다.[3][4][7][8] 이 때문에 샤무-라마트와 관계가 깊은 환관들의 세력이 커졌고, 이는 훗날 아시리아 왕권 약화의 원인이 되었다.

어머니가 섭정 역할을 했다는 주장은 널리 부정되지만, 당시 그녀의 영향력은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인다.[5][9]

그는 아슈르-니라리 5세, 살마네세르 4세, 아슈르-단 3세의 아버지였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비문에 아다드-니라리 3세의 아들이라고 묘사했지만, 이것이 사실인지는 불확실하다.

2. 2. 군사적 업적

Adad-nārārīakk 3세는 샴시-아다드 5세의 아들로, 즉위 당시 어렸기 때문에 치세 초기 5년 동안은 어머니인 샤무-라마트가 섭정을 하였다. 이로 인해 샤무-라마트와 관계가 깊은 환관들의 세력이 커졌고, 이는 훗날 아시리아 왕권 약화의 원인이 되었다.[1]

그의 시대는 아시리아의 팽창이 계속되던 시기였다. 왕 자신의 기록은 적지만, 바빌로니아 원정을 성공시켜 칼데아 인 등을 정복하였다. 또한 그의 부하들은 많은 원정을 통해 아시리아의 영토를 확장하였다.[1]

군 총사령관이었던 샴시-일은 시리아로 군사 활동을 펼쳤고, 또 다른 부하 네루카루-에레슈는 기원전 796년에 이스라엘 왕의 공격을 받아 약해진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그 왕 하자엘을 죽이고 지배하에 두었다.[1]

아다드-니라리 3세의 비문에 따르면, 그는 할아버지 살만에세르 3세 시대에 아시리아가 누렸던 강성함을 되찾기 위해 여러 군사 원정을 이끌었다. 명칭 관례에 따르면, 그는 통치 28년(기원전 783년)까지 사방으로 원정을 다녔으며, 니네베에 있는 나부 신전을 건설했다. 그의 활동 중에는 기원전 796년 벤하닷 3세 시대에 다마스쿠스를 포위한 것이 있었는데, 이는 아람 다마스쿠스 왕국의 쇠퇴를 초래했고, 요아스와 여로보암 2세 치하의 이스라엘의 부활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수많은 원정을 통해 아시리아는 영토를 확장했지만, 이들 장군들은 정복지에서 지배자와 같이 행동하여 지방 속주에 대한 아시리아 왕의 통제력은 매우 약화되었다.[1]

아다드-니라리 3세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아시리아는 그의 사후 수십 년 동안 약세를 면치 못했다.

2. 3. 내치 및 왕권 약화

그는 샴시-아다드 5세의 아들이었다. 즉위 당시 어렸기 때문에, 치세 초기 5년 동안은 태후 샤무-라마트가 섭정을 하며 정권을 휘둘렀다. 이 때문에 샤무라마트와 관계가 깊은 환관의 세력이 커졌고, 이는 훗날 아시리아 왕권 약화의 원인이 되었다.[1]

그러나 그의 시대는 아시리아가 계속 팽창하던 시기였다. 왕 자신의 기록은 적지만 바빌로니아 원정을 성공시켜 칼데아 인 등을 정복했다. 또한 그의 부하들은 많은 원정을 통해 아시리아의 영토를 넓혔다.[1]

군 총사령관 샴시-일은 시리아로 군사 활동을 펼쳤고, 또 다른 부하 네루카루-에레슈는 기원전 796년 이스라엘 왕의 공격으로 다마스쿠스가 약화된 틈을 타 다마스쿠스를 공격해 그 왕 하자엘을 죽이고 지배하에 두었다.[1]

이러한 수많은 원정을 통해 아시리아의 영토는 확장되었다. 하지만 이들 장군들은 정복지에서 지배자처럼 행세하여, 지방 속주에 대한 아시리아 왕의 통제력은 매우 약화되었다.[1]

또한 니네베나부 신전을 비롯한 각지에 신전을 건축하여 국위를 과시했다. 그의 사후, 그의 아들들인 샬만에세르 4세, 아슈르-단 3세, 아슈르-니라리 5세가 차례로 왕위를 계승했는데, 아다드-니라리 3세 시대에 세력을 키운 환관과 장군들이 계속해서 강한 권력을 휘둘렀다.[1]

3. 성경과의 관련성

요나서에 기록된 왕은 아다드-니라리 3세라고 여겨진다. 요나 시대의 이스라엘 왕은 여로보암 2세였으며, 동시대 아시리아 왕은 아다드-니라리 3세에 해당한다.[1]

참조

[1] 문서 Tell Al Rimah Stele National Museum of Iraq, Baghdad
[2] 논문 A Note on the Date of the Battle of Qarqar 1977
[3] 서적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2
[4] 웹사이트 Contestants for Syrian Domination http://www.kent.net/[...] 2000
[5]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6] 문서 テル・アル・リマーの石碑 イラク国立博物館
[7] 서적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2
[8] 웹사이트 Contestants for Syrian Domination 2000
[9]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